KIN

왕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사회경제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국민정신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타협법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문학 발전의 발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등 문학사의 시대를 나누는 방법이 있었다.

 

문제는 문학을 있는 그대로 취급해야 하는가, 아니면 역사적, 사회적 여건을 중시해야 하는가이다. 이와 함께 한국 문학사의 나이 구분만으로 만족할 것인가, 세계 문학사와 관련해 기준을 얻거나 결과를 확인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나이 구분 방법론의 밑바닥에서 작용하고 있다.

 

출판된 안혁(1922년)의 첫 문학사는 시대를 상고시대, 중고시대, 근대, 근대 등으로 구분했다. 그 이름은 시간의 관점에 의한 구별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왕조의 교체에 의한 구별이다.

 

상고 시기는 삼국시대 이전, 중고기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근대기는 조선시대, 근대기는 갑오경 이후였다. 이후 김사엽의 『조선문학사』(1948년), 『한국문학사』(1954년) 등 왕조의 이름을 외견상 구별하는 문학사가 많았다.

 

그것은 문학사의 단계를 상고문학, 삼국시대문학, 고려문학, 이조문학, 현대문학으로 나누었다. 왕조 교체에 따른 시대별 분류는 기준의 혼란이 없고 분류 결과가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왕조와 문학사의 관계가 얼마나 깊은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의문을 제기할 뿐만 아니라 보다 타당하고 설득력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도 쉽지 않다.

 

더군다나 왕조의 교체는 문학의 변혁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이 방법은 오늘날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지만, 몇 가지 수정안만 제안되었다.

 

이병기와 백철의 『국문학전사』(1957년)가 선정한 조선과 조선 문학의 구분은 훈민정음 창제로 뚜렷이 구별되었다. 반면 김준영의 국고학자(1971)는 조선시대의 문학은 임진왜란 후기로 나뉘었고, 왕조의 교체와 함께 문학의 양상이 크게 변화했다고 말했다.

 

가장 널리 채택된 방법은 다른 기준과 타협하여 왕조를 교체함으로써 시대의 분열을 일부 수정하는 것이다. 사회경제사와 역사의 분열이 문학에서 역사만큼 진전되지 못한 것은 이명선의 <조선문학사>(1948년) 한 예만을 남겼다.

 

이명선씨는 세계사가 노예사회, 봉건사회, 자본주의사회로 발전했다는 유물관을 따라야 한다며 신라가 통일된 뒤 봉건사회였고, 가복장 이후라고 말했다.

 

다만 이 방법은 기본 전제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실체에 대한 고려나 증명 없이 시대의 분열을 재촉했기 때문에 불신을 사고 있다.

 

서양의 선례가 보편적 세계사 시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단순한 낙관론, 사회구조의 변화가 문학을 설명할 수 있다는 단순한 결정론, 신라 통일 이후 봉건사회가 일어났다는 주장은 모두 긍정적이지 않다.

 

조윤제의 『한국문학사』(1949년)와 『한국문학사』(1963년)를 통해 시대적 분열을 국사적 관점에서 이루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조윤제는 민족사는 민족 정신에 따라 발전하며, 민족 정신의 생물학적 발전을 바탕으로 문학사를 이해하고 서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시대분열의 결과는 대동시대, 형성시대, 수축시대, 잠복기, 소생시대, 개발시대, 성찰시대, 운동시대, 유신시대, 재건시대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민족정신이 모호한 개념이고 이론이 이념에 치우쳐 있다고 비판할 수 있지만, 사실 사회 여건의 변화와 문학 현실의 변화가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려시대는 국문학의 타격을 받아 위축의 시대로 접어들었지만, 무신란과 함께 사회적 여건이 변화하자 시조와 경기도 시대는 고려 후기의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현대 문학이 서양 현대 문학의 이식을 전제로 하는 것을 부정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작용했다. 하지만, 그것은 문학사상 가장 큰 이슈이다. 서구의 영향과 자극은 인정돼야 하지만 현대문학의 본질적 성과를 찾기 위한 새로운 관심사가 등장하면서 토론의 각도가 달라지지 않을 수 없었다.

 

비판적 논란 끝에 김윤식과 김현현의 '한국문학사'(1973)가 나왔을 때 문학사의 서사를 통해 새로운 시각이 부각될 수 있었다. 그곳에서 그는 영조와 정조 때의 18세기부터 4월 19일까지의 문학사를 서술하고, 갑오경 이전의 문학에서 근대 의식이 성장한 흔적을 더듬어 보았다.

 

그 결과 현대 문학의 개념과 형성이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현대 문학이 문학의 발전 단계라면, 앞선 단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도 불가피하다. 서양과의 접촉을 통해 현대문학을 이해하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로잡기 위해서는 그 나름대로의 특성으로 순차적으로 발전해 온 고대, 중세, 현대문학의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고대의 자기중심주의, 중세 보편주의, 근대 민족주의는 문학의 존재, 문학의 분열 체계, 시대적 분열을 위한 기준으로 문학계급의 경향을 통해 구현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의 문학은 보편주의를 벗어나지 않고 민족주의를 지향했기 때문에 중세 문학에서 현대 문학으로의 전환기로 정의되었고, 중국 문학, 한국 문학, 역사 문학, 시민 문학이 공존한다. 여기서의 시간 분할은 새로운 제안으로는 내세울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기준도 왕조 교체에 따라 나뉘기 때문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는 조선 전후의 시대로 나누어 독립시대가 성립될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려말과 조선초기의 관계가 고려초기와 고려말, 또는 조선초기와 조선후기의 관계보다 더 큰 의미를 갖게 된다. 조선 후기에서 다음 시대로 옮겨간 이유는 개항이나 갑오경장이 아니라 1860년에 동학이 성립되었고, 1919년 이후 신문학 운동이 시작되고 다음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견해를 택했다. 1945년 이후 문학은 끝났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